"이게 안 들리니?"



한숨과 함께 내뱉던 선생님의 말.


"다시 들어봐."


절망적 이게도 여전히 미지의 음들일뿐. 



나를 이토록 괴롭히는 시창청음은 도대체 왜 배워야 할까?


시창청음은 왜 배워야 할까요?


스마트폰과 번역기가 있는 세상에서
우리가 외국어를 배우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이유는 번역기보다도 더 빠른 의사소통이 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 외국어 메뉴를 보고 읽을 수 있고,
  • 외국인이 하는 말을 듣고 이해할 수 있으며,
  • 외국어로 직접 메일을 작성할 수도 있죠.

외국어를 익히면 번역기가 필요 없듯이, 
음감을 익히면 악기의 도움이 필요 없습니다.


  • 악보만 보고도 노래를 부를 수 있고,
  • 연주 중 틀린 음을 귀로 판단할 수 있으며,
  • 떠오르는 악상을 악기로 확인하지 않고 곧바로 오선지에 옮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음감이 부족하다면 '번역기'가 필요해집니다.

  • 악보만 봐서는 노래를 부를 수 없어 피아노로 먼저 쳐봐야 하고,
  • 연주 중 틀린 음을 스스로 판단하지 못해, 선생님의 지도에 의존하며,
  • 떠오르는 악상을 바로 적지 못하고, 피아노로 확인해야만 오선지에 옮길 수 있습니다.


음악을 하는 분이라면, 이런 과정들이 얼마나 번거롭고 비효율적인지 공감하실 겁니다.


그래서 지금 이 글을 읽고 계시는 거겠죠.

상대음감의 특별한 능력

음감은 무엇이며, 어떻게 키울 수 있을까요?


슈퍼 히어로들이 각자 고유의 능력을 가진 것처럼,

절대음감과 상대음감 역시 서로 다른 능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를 좀 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시각 능력'에 빗대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 절대음감은 '절대적 위치'를 인식합니다


절대음감은 '전봇대의 선'을 볼 수 있습니다. (=절대적 위치 파악이 가능함)
  • 절대음감 : "검은 새는 첫 번째 줄, 파란 새는 두 번째 줄에 있어"

우리가 그림을 보고 새가 몇 번째 줄에 있는지 파악하듯,
절대음감은 음을 듣고 어떤 음인지 즉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절대음감 : 음을 '절대적으로' 듣고 부를 수 있는 능력.




🧭 상대음감은 '간격'을 인식합니다

한편, 상대음감은 '전봇대 선'은 보이지 않지만, (=절대적 위치 파악 불가)
대신 기준점과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상대적 위치 파악 가능)

  • 절대음감 : "검은 새는 첫 번째 줄에 있어."
  • 상대음감 : "파란 새는 검은 새(첫 번째 줄)보다 10cm 위에 있어. 그럼 두 번째 줄에 있겠네."

이처럼 상대음감은 상대적 간격으로 새의 위치를 파악합니다.


음으로 표현하면 "미 보다 3도 위에 있으니까 솔"이라고 파악합니다.


상대음감 : 음을 '상대적으로' 듣고 부를 수 있는 능력.

너도 가능해. 부분적 절대음감

🎯 상대음감의 한계와 해결 방법

이런 질문이 생길 수 있습니다.

기준음이 없는 상태에서,

상대음감은 어떻게 음을 파악하나요?

즉, 검은 새의 위치를 절대음감이 알려주지 않으면, 
상대음감은 혼자서 어떻게 파악하나요?

맞습니다. 이것이 바로 상대음감의 한계입니다.
상대음감은 '기준음'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렇게 때문에 상대음감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일부 절대음감적인 능력, 즉 '부분적 절대음감'이 함께 필요하고,
훈련을 통해 충분히 길러질 수 있습니다.


따로 훈련하지 않더라도 꾸준히 시창청음 훈련을 하다 보면,
계속해서 음을 부르고 듣기 때문에 절대음감적인 감각도 자연스럽게 강화됩니다.

음악 문맹을 탈출하라


📏 음정: 음의 간격을 듣는 법

위 예시에서 상대음감이 눈으로 새들의 '간격'을 볼 수 있었던 것처럼
음악인은 귀로 간격을 듣고, 목으로 간격을 부를 수 있어야 합니다.
음악에서는 간격을 '음정'이라고 합니다.

  • 자에 1cm, 2cm, 3cm..가 있듯,
  • 음악에는 1도, 2도, 3도..라는 간격이 있습니다.


여러분은 이 '음정'을 외우는 훈련을 하셔야 합니다.


✍️ 음정을 외우는 방법 

암기에는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1. 이해하며 외우기
2. 단순히 반복하여 외우기


음정은 개념적으로 이해하기보다는

단순 반복을 통해 신체에 체화시켜야 합니다.

예를 들어, 영어 단어 'apple'이 왜 사과를 뜻하는지 논리적으로 이해한 것이 아니라
  • 입으로는 : "애플 애플 애플.." 
  • 손으로는 : apple apple apple.. 깜지를 적으며 
외웠듯이 말입니다.


음정 역시,

  • 입으로는 : "도레 도레 도레, 레미 레미 레미" 부르며 외우고
  • 귀로는 : 들리는 음들의 간격을 듣고 외우고 
  • 뇌로는 : 입과 귀에서 체득한 음정을 통합합니다. 

이런 반복을 통해 
음정을 몸으로 외우게 되고, '감각'으로 자리 잡게 됩니다.






📌 정리

1. 상대음감은 음을 '상대적'으로 파악한다.
2. 이 능력을 발휘하려면, '음정(간격)'을 외워야 한다.
3. 음정을 외우기 위해서는 '단순 반복 훈련'을 해야 한다.